PB상품이 인기 있는 이유

소비자 선택의 중심으로 떠오르다

최근 몇 년간 대형마트, 편의점, 온라인 쇼핑몰 등 유통업체들이 자체 브랜드(PB, Private Brand) 상품을 적극적으로 출시하며 시장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과거 저렴한 대체재로 여겨지던 PB상품은 이제 품질, 디자인, 가격 경쟁력에서 NB(National Brand, 제조사 브랜드) 제품과 어깨를 나란히 하거나 더 높은 선호를 얻기도 합니다. 이러한 PB상품의 인기는 경제적, 구조적, 심리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현상입니다.

1. PB상품이란 무엇인가?

PB상품은 유통업체가 자체적으로 기획하고 외부 제조업체에 생산을 맡겨 유통망을 통해 판매하는 자체 브랜드 제품을 의미합니다. 이마트의 ‘노브랜드’, 코스트코의 ‘커클랜드’ 등이 대표적이며, 제조사 대신 유통업체의 브랜드가 전면에 부각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2. 가격 경쟁력: 합리적 소비의 핵심

PB상품의 가장 큰 강점은 합리적인 가격입니다. 유통업체가 기획부터 유통까지 직접 관리하고,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소비자에게 더 낮은 가격으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구조적 이점에서 비롯됩니다.

  • 중간 유통 비용 절감: PB상품은 유통업체가 직접 제조사에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방식으로 생산을 위탁하므로, 중간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이 크게 줄어듭니다.
  • 광고 마케팅 비용 절감: NB상품과 달리 PB상품은 대규모 광고 캠페인 대신 자체 매장 진열이나 온라인 플랫폼 내 추천 등을 통해 홍보되므로 마케팅 비용이 최소화됩니다.
  • 대량 생산 기반 단가 인하: 유통업체가 대량으로 제품을 발주하여 제조업체는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는 생산 단가 인하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비용 절감 구조 덕분에 소비자들은 유사한 품질의 제품을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 만족도가 높습니다.

3. 품질 개선과 신뢰도 상승

과거 PB상품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떨어진다’는 인식이 강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NB상품에 버금가는 품질을 갖춘 제품들이 대거 출시되면서 이러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 우수한 제조사와의 협업: 유통업체들은 PB상품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이미 검증된 전문 제조사와 협력합니다. 유명 NB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PB제품을 함께 생산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철저한 품질관리 시스템: 대형 유통업체들은 자체적인 품질 테스트와 엄격한 기준을 통해 NB제품에 뒤지지 않는 품질을 확보하며 소비자 신뢰를 쌓고 있습니다.
  • 소비자 후기 기반 개선: 온라인 구매와 활발한 후기 공유를 통해 소비자의 피드백이 빠르게 반영되어 제품의 품질이 지속적으로 향상됩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소비자들은 ‘싸다고 나쁜 것이 아니다’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고, PB상품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경향이 뚜렷해졌습니다.

4. 유통업체의 브랜드 전략

PB상품은 단순히 저렴한 제품을 넘어 유통업체의 핵심적인 브랜드 전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는 유통업체의 차별화된 정체성을 확보하고 소비자 충성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차별화된 정체성 확보: 각 유통업체는 PB상품을 통해 고유의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합니다. 예를 들어 이마트의 노브랜드는 ‘광고비를 아껴 가격을 낮췄다’는 메시지로 가성비 이미지를 확고히 하며 이마트만의 정체성을 강화했습니다.
  • 매장 방문 유도 효과: 인기 PB상품은 해당 유통업체에서만 구매할 수 있는 ‘전용 제품’이기에, 소비자는 특정 PB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해당 매장을 방문하게 됩니다. 이는 자연스럽게 유통업체의 매출 증대로 이어집니다.
  • 브랜드 충성도 확보: PB상품에 만족한 소비자는 해당 유통업체 자체에 대한 신뢰를 형성하게 되며, 이는 장기적으로 유통업체의 전반적인 매출 상승과 경쟁력 확보에 기여합니다.

5. 소비자 가치 변화: 실용적 소비의 부상

최근 소비자들은 단순한 가격보다는 합리성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졌습니다. ‘가성비’와 ‘가심비’를 추구하는 소비가 대세가 되면서 PB상품의 인기가 더욱 높아졌습니다.

  • 브랜드보다 실속: 과거에는 유명 브랜드 제품이 신뢰의 상징이었지만, 이제는 브랜드에 얽매이지 않고 품질과 가격이 합리적이라면 PB상품을 선택하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 MZ세대의 소비 성향: SNS 후기, 유튜브 비교 영상 등을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MZ세대는 브랜드 명성보다는 실제 ‘사용 경험’과 ‘후기’에 기반하여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들은 PB상품이 NB상품 못지않은 가치를 제공한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으며, 오히려 ‘알뜰한 소비자’로서의 자부심을 느끼기도 합니다.
  • 물가 상승 시대의 대응책: 지속적인 물가 상승 속에서 소비자들은 비용 부담을 줄이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며, PB상품은 ‘절약하면서도 품질을 챙길 수 있는 똑똑한 소비’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6.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소비 환경

코로나19 팬데믹은 비대면 소비와 온라인 쇼핑을 급속도로 확산시켰고, 이는 PB상품 소비 증가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 온라인 중심 소비 확대: 온라인 유통업체들이 PB상품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가격 비교가 용이해지고 접근성이 개선되었습니다. 쿠팡의 ‘탐사’, 마켓컬리의 ‘컬리 PB’ 등이 대표적인 성공 사례입니다.
  • 장기적인 경기 불안: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소비자들은 ‘절약 소비’를 더욱 추구하게 되었고, 이는 자연스럽게 PB상품 선호로 이어졌습니다.

7. 지속 가능한 소비 흐름과 윤리적 소비

최근 소비자들은 환경, 윤리,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소비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에 유통업체들도 친환경 포장이나 윤리적 생산 방식을 도입한 PB상품을 출시하며 소비자와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 친환경 포장: 일부 PB상품은 간소한 포장, 재활용 가능한 소재 사용 등을 통해 ‘불필요한 비용과 쓰레기를 줄이는’ 이미지를 구축하며 소비자의 지지를 얻고 있습니다.
  • 윤리적 생산: 동물복지, 공정무역 인증 등을 받은 PB상품은 가치소비에 민감한 소비자층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결론: PB상품은 단순한 ‘저가 상품’이 아니다

PB상품은 더 이상 ‘저렴해서 사는 물건’이 아닙니다. 가격 경쟁력, 품질 향상,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 그리고 유통업체의 전략적 진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제는 소비자에게 합리적이고 가치 있는 선택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했습니다. 브랜드 충성도가 약화되고 정보 접근성이 높아진 현대 사회에서 PB상품은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춘 실용적인 선택지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입니다.

PB상품의 인기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선 구조적인 변화이자 소비 문화의 패러다임 전환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You cannot copy content of this page